\

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레졸버 설계 검토

전력전자/모터제어

by cseop 2022. 7. 28. 12:26

본문

반응형

레졸버란?

    • 입력에 일정한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의 전압을 인가하고 서로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된 두개의 검출 코일로 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회전자의 절대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

   -. 레졸버 입력 : $E_R$ $sin$ $\omega t$

   -. 레졸버 출력 : $E_{(S1-S2)} = KE$ $sin$ $\omega t $ $sin$ $ \theta$  ,  $ E_{(S3-S4)} = KE$ $sin$ $\omega t$ $cos$ $\theta $

   -. 

 

   -. 두 신호의 차: KE sin⁡(ωt) (sin⁡θ cos⁡ϕ - cos⁡θ sin⁡ϕ)

   -. 삼각함수 정리 : ε=KE sin⁡〖(ωt)〗  sin⁡(θ-ϕ) , ε = 0이 되게 Φ 를 출력하면 θ와 같아지므로 회전자 각도 추정(4page 블록도)

 

 

 

Resolver Signal Input Circuit

외부 입력 회로 (외부 여자의 경우)

  • 여자 신호 입력을 외부전원으로 사용 시 RDC는 외부입력(R1, R2)과 위상신호를 사용하는 동기 검출 기능이 필요
  • R1, R2는 레졸버 캐리어 신호와 함께 같은 위상을 가져야 함
  • 여자 신호가 VCC를 초과하면 오류 발생 가능 --> 분압저항을 통해 VCC 전압을 초과하지 않게 해야 함
  • 외부 여자 전원 사용시 - "EXMDB" pin 설정 : "L"

(1) 기본 회로 예시(단일 전원으로 외부 여자 전원 사용 시)

  • R1, R2 파형 예시

(2) 기본 회로 예시(이중 전원으로 외부 여자 전원 사용 시)

-. 여자 신호는 0V가 중심에 위치하게 됨
: R1/R2 단자 입력의 DC 레벨을 쉬프트 시켜야 함

위상 천이 고려 시

  • 일반적으로 자동 보정이 되지만 +=45º 이상 차이의 경우 정확도가 떨어짐
  • 단자전압이 0V~VCC 범위를 초과할 경우, 오류 발생 --> 분압저항 추가 필요


위상차이에 의한 각도 보정 방법

<출처 및 참조>
타마가와 홈페이지 - USER Manual, Model : AU6805
https://www.tamagawa-seiki.com/assets/img/downloads/soft/MNL000634W00_AU6805_20161214.pdf

반응형

댓글 영역